Twig - 아직도 PFP밖에 모르세요?
production
twig-logo

함께하는 위대한 투자, Twig

접근하기 힘들었던 해외 비상장 주식, 대체 자산
Twig와 함께 경험해보세요

back
아직도 PFP밖에 모르세요?
매거진

아직도 PFP밖에 모르세요?

크립토펑크, BAYC, 메타콩즈 그리고 또… 여러분이 지금 떠올리신 바로 그 NFT! 각기 다른 모습과 특징을 가진 NFT 프로젝트일 테지만, 아마 모두 ‘이미지’의 형태를 취하고 있을 거예요(한 90% 장담합니다!). 그런데 그거 아세요? NFT의 종류는 생각보다 다양하다는 사실이요! 😮

아래는 2021년 한해 동안 음악 NFT의 총 판매 수익을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헤헤 눈치채셨나요? 오늘의 주인공, 바로 음악 NFT예요! 🎶 음악 산업 다방면의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워터 & 뮤직(Water & Music)에서 2021년에 발행된 1,500개 음악 NFT들을 추적하여 월별로 판매 수익을 정리해 두었습니다. 21년 3월, 약 $27M(22년 6월 21일 기준, 약 348억 원)에서 5월, 약 $3M(같은 일자, 약 33억 원)으로 급격히 하락하였으나, 이후 회복을 향해 천천히 나아가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출처: Water & Music

그럼에도 불구하고 NFT 시총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음악 NFT의 시장 점유율은 솔직히 미미한 수준에 불과해요. 하지만 분명한 장점 덕분에, 국내외로 끊이지 않는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답니다! 음악 NFT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관련 프로젝트를 통해 함께 살펴볼까요?

- 출처: Xangle 

👀 국내 프로젝트: 뷰티플노이즈 SLEEP EXHIBITION NFT

<쇼미더머니777>의 독보적인 아이콘, 마미손! 분홍색 복면을 쓰고 나타나 자신은 절대 ‘매드클라운이 아니’라는 해명을 하고 다니는 독특한 인물이죠. 그는 음악 레이블 뷰티플노이즈의 수장이기도 합니다. 마미손이 이끄는 뷰티플노이즈에서는 지난 5월, 음악 NFT를 발매했어요. NFT 프로젝트 명은 SLEEP EXHIBITION. 뷰티플노이즈 소속 아티스트들이 출연한 단편 영화 형식의 뮤직비디오 OST를 NFT로 발매한 것이라고 해요.

- SLEEP EXHIBITION NFT(출처: OpenSea)

SLEEP EXHIBITION은 오전 11시, 퍼블릭 세일이 열리자마자 단 1초 만에 전량 소진되었습니다. 각 500개로 구성된 총 6가지 종류의 NFT로 민팅가 0.08ETH에서 시작해, 바닥가 0.22ETH를 형성하며 판매 개시 12시간 만에 누적 거래량 260ETH(22년 5월 5일 기준, 한화 약 9억 7,916만 원)를 달성했죠! 해당 NFT의 홀더들에게는 이용 약관에 따라, 구매한 음악과 아트워크의 IP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졌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뷰티플노이즈는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을 거치지 않고 NFT로 직접 자신의 음악을 발매하였어요. 무척 인상적인 시도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음악 발매와 스트리밍 플랫폼의 끈끈한 관계를 고려하였을 때, 꽤나 참신한 시도를 한 것이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아쉽게도 국내에서의 음악 NFT는 입지가 약한 편입니다. 국내보다 해외에서 관련 프로젝트들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 같아요! 작년 한 해만 두고 봐도 굉장히 다양한 음악 NFT들이 출시되었어요(참고: The Top Music NFT Moments of All Time). 그중 인상적인 사례를 소개해 보려 합니다.

👀 해외 프로젝트: 휘트니 휴스턴 데모곡 NFT & 코첼라 콜렉터블 NFT

2021년 12월 13일, 음악 NFT 2차 마켓인 OneOf에서 특별한 옥션이 진행되었습니다. 영원한 디바, 휘트니 휴스턴의 미발표 데모곡 NFT 옥션이었는데요! 이는 그녀가 17세 때 녹음한 데모곡으로, 한 번도 대중에 공개된 적이 없었던 곡이었어요. 휘트니 휴스턴의 위대한 유산은 $999,999(22년 6월 15일 기준, 약 13억 원)에 낙찰되었습니다. 옥션에서 NFT를 구매한 홀더에게는 데모곡의 IP 사용권이 주어졌고요!

2022년, 올해는 세계적인 음악 페스티벌 코첼라의 코첼라 콜렉터블(Coachella Collectibles) NFT 발행 소식이 있었습니다. 총 3가지 종류로 구성되어 있는 코첼라 콜렉터블 NFT에는 각각 페스티벌 영구 입장권, 유니크한 현장 경험 및 굿즈 교환권이라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요. NFT와 물리적인 경험을 함께 누릴 수 있는 리워드형 NFT를 통해 팬들과의 새로운 소통을 시도한 것이죠!

- Coachella Collectibles NFT(출처: Coachella NFT)

🌬️ 음악 NFT가 몰고 올 새바람

음악 NFT의 등장은 아티스트와 팬 모두에게 혁신적인 기회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먼저 아티스트는 스트리밍 서비스가 지배적인 기존 음악 시장의 수익 구조를 탈피하고, 자신이 제작한 음악의 판매 수익을 100% 가져갈 수 있게 되었어요. 음악 제작부터 홍보, 유통까지의 전 과정을 스스로 할 수 있는 무대가 생긴 거죠!

- 기존의 스트리밍 수익 배분 구조(출처: 트랜D, 중앙일보)

한편 팬 입장에서는 세상 하나뿐인 굿즈를 소장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좋아하는 아티스트가 제작한 음악의 독자적인 사용권을 가질 수 있게 되었으니까요!

여기서 잠깐! 🖐️ 음악의 독자적인 사용권은 팬들뿐만 아니라 크리에이터들에게도 굉장히 매력적인 요소일 거예요. 바야흐로 콘텐츠 전성시대! 수많은 콘텐츠 플랫폼이 등장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창작물을 제작할 수 있는 제반이 마련되었거든요. 특히 영상 콘텐츠의 수요가 커지며, 음악은 무척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동일한 영상이라 할지라도, 어떤 음악과 함께 재생되느냐에 따라 전달되는 분위기나 정서가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죠! 따라서 크리에이터들은 IP 사용권이 포함되어 있는 음악 NFT를 탐낼 수밖에 없습니다. 이 세상에 나만 사용할 수 있는 음악이 존재한다는 건, 개성을 한껏 돋보이게 만들어 줄 무기가 생긴 것과 같으니까요!


음악은 일상에서 가장 쉽게, 자주 접할 수 있는 콘텐츠입니다. 그렇기에 감히 음악 NFT의 미래를 기대해 보려고 해요. 아직까진 소수 유명 아티스트들의 비중이 높고 이벤트적인 측면이 강하지만, 이는 분명 불어오는 혁신의 새바람입니다.

물론 기존의 음악 시장을 전부 바꾸진 못할 거예요. 저작권 이슈를 해결하는 일도 쉽지 않을 거고요. 하지만 선택 가능한 옵션이 생겼다는 점에서 강력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지금까지는 모두가 따라야 하는 주어진 길이었다면, 이제부터는 각자가 원하는 길을 선택할 수 있게 된 거니까요! 🚀


* * *


💡 본 콘텐츠는 특정 투자 자산 또는 종목에 대한 추천 또는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모든 투자 및 출자 의사결정은 전적으로 투자자 자신의 판단과 책임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투자자의 투자 및 출자 결과의 법적 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콘텐츠의 무단 복제 및 배포는 엄격히 금지합니다. (c) 2022. (주)페어스퀘어랩. all rights reserved.


2
2
2
댓글 0
글로벌 대체투자자 매칭 플랫폼, Twig
사업자 : (주)페어스퀘어랩
대표이사 : 김준홍
이메일 : hello@twig.money
주소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105길 12 7층
사업자등록번호 : 896-88-0099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2-서울서초-0199
Twig는 거래를 중개하거나 자문하는 투자중개업 및 투자자문업을 영위하고 있지 않으며, 플랫폼 내 당사자 간 일어나는 거래의 진행을 위해 조합 생성, 관리 등 사무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실제 거래에 대한 책임은 계약 당사자 각자에게 있습니다.